본문 바로가기

마음챙김16

문제대응 방법,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 속상한 상황은 시간이 흐르면 앞으로 더 생길 것이야 이런 상황을 속상해 하기만 하면서 감정적으로 대응하기 보다 대처하는 방식을 조금 더 이성적으로, 해결을 위해서 생각하는 식으로 나아가야 한다 '아 속상해 ㅠㅠ 이게 뭐야ㅠㅠ' 질질 짜는건 그만..! '뜨헉.' 삼초 뒤 아 그럼 어떻게 해야하지..? 이렇게 해야겠다..! 촥촥 행동 후. 하는 생각-> 오히려 좋네 !! 성숙해지는..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 2022. 9. 12.
업장소멸 성격은 업이다 성격을 죽이는 게 업을 빼는 일이다 업을 빼는 것이 업장소멸 큰 이모는 엄마 이모들 세자매 중에서 제일 편해야 할 상황인데 이 걱정 저 걱정에 끙끙 앓는다고, 그러니 모든것은 자기 마음 가누는데 달려있다고 자기 마음만 가누면 다 괜찮아질 일을 그거 하나 못해서 어렵게 하지말라고 69층 등반해서 짐싸려 올라가려는 나를 막으면서 엄마가 해준말이다. 그리고 오히려 좋다 생각하면 다 좋을 일인데 정말 좋은 일이고 경험인데 자기 마음 못 가눠서 아깝게 인생을 보내지말라고 고생하지 말라고 내 마음 하나 가누면 다 좋은 상황인데 내 마음 내 성격 내 고집 버리는게 쉬운 일은 아지만 그렇게 하는것이 업장소멸 2022. 9. 12.
[마음편] 종강 ~하고싶다 = 욕구 지나친 욕구 = 탐욕 행복하게 사려는데 불행해지는것은 탐욕때문 자기 분수에 지나치게 원하는 것이 탐욕 과하면 독이다.. 무소유란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다' 가 아니라 누구의 것도 아니다, 라는 뜻이다. 법당에 방석, 이름 새겨서 니방석 내 방석 하는게 아니다. 네거 내거 정하면 늘 부족한데 늘 남아있게 된다 = 풍요속의 빈곤 풍요라서 빈곤,, 채워져만 가는 세상, 힘센 포크레인이 세상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연약한 지렁이가 세상을 구하고 많이 벌고 많이 발전할 수록 더 살기 어려워지고 더 결핍을 느끼는 것 행복을 일반적인 논리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다 내 식으로 상대방을 이해하려 하지 않고 '그럴 수 있지' 하고 너그러운 마음을 나한테도 남한테도 가지는 것. 너. 그. 러. 운 ! 음.... 2022. 9. 2.
[마음편] 출렁이는 내 마음 알아차리기 어제 오늘 다른 내 마음..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원래 마음이란게 오늘 다르고 내일 다른 것이다. 마음은 원래 이랬다 저랬다 좋았다 말았다 하는 것이다. 마음 한번 먹은대로 쭈욱 가야한다 라고 생각하니 출렁이는 마음이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원래 마음이란 왔다갔다 하는 거야' 라고 알고만 있어도 그 마음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요동이 지나치지 않을 수 있다. 왔다갔다 하는게 마음인 것이야~ 하고 생각하면서 마음이 출렁일 때 그냥 그 출렁이는 마음을 멀리서 지켜볼 수 있으면 그 마음에 빠지지 않을 수 있어. 2022. 8. 24.
반응형